2018 Early Season 트랜드슈팅 첫 시간은 매거진B ‘파타고니아’ 편으로 진행됐습니다. 첫 세션인 만큼 HBR 포럼 코리아(hbrforum.org)에 대한 소개와 멤버들의 자기소개로 시작됐습니다.
기업의 최우선 가치, 존재의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윤 창출’입니다. 하지만 파타고니아는 지역사회 공헌과 직원 복지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고 말합니다. 이런 기업 철학은 창업 당시부터 확고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창업자 이본 쉬나드 회장은 클라이밍에 사용하는 장비(피톤)를 생산하며 처음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만든 제품이 암벽을 파괴한다는 점을 알게 됐고, 과감히 피톤 생산을 즉시 중단합니다. 이후 그는 알루미늄을 활용해 암벽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 있는 제품을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쉬나드 회장은 환경 보전과 더불어 ‘최고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모토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을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하고, 그러려면 각각의 제품이 최고의 품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파타고니아의 제품혁신 부서 직원은 “재활용 재료가 원자재만큼 품질이 좋지 않다면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파타고니아는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추구하며, Worn Wear 프로젝트를 통해 입던 옷을 수선해 다시 입도록 장려하기도 하고, 제품을 검색하면 e-bay에서 중고 제품이 먼저 노출되게 하기도 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최대 특수를 노릴 수 있는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이 자켓을 사지 마세요(Don’t buy this jacket)’이라는 광고를 내보내면서 정말 필요한 소비만 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죠.
파타고니아는 이윤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지는 않지만, 수익을 내는 회사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Soci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부서의 카라 샤콘은 “책임감과 수익성이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며 둘 중 하나를 꼭 선택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파타고니아는 2008년 금융 위기 때 전년 대비 50%, 이후에도 연평균 35% 성장했습니다. 파타고니아는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으로서, 매출의 1% 혹은 이익의 10%(둘 중 큰 액수)를 ‘지구에 내는 세금’으로 생각하고 환경 관련 사업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파타고니아 큐레이션은 권오영님께서 맡아주셨는데요, 역시 마케팅에 대한 지식과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세션으로 진행해주셨습니다.
비주얼 자료들과 함께 Cultural Marketing에 대한 개념 설명, Elements of Value 피라미드를 통한 브랜드 설명을 듣고 Discussion이 진행됐습니다.
파타고니아 제품을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친숙하게 생각하던 멤버부터 파타고니아에 대해 처음 들어본 멤버까지 각자의 생각을 나누면서 브랜드의 철학을 공감하고 착한 소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트렌드슈팅 다음 세션은 ‘필드트립’입니다. 트렌드가 일어나는 곳을 직접 찾아가서 함께 경험하고 이야기를 나눈다고 합니다. 벌써부터 기대되는 시간입니다.
오늘도 눈 앞에는 신입들이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할 일을 기다리고 있다면? 걱정부터 앞섭니다. 고민을 해봅니다.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우리는 동료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어떤 자질을 갖춰야 하는 것일까요? 우리는 많은 상황에서 리더십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하며 살아갑니다. 그도 그럴 것이, “리더십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얼마 없을거에요. 애초에 리더십의 언어학적 정의 자체가 ‘리더의 자질’인걸 뭐 어떡하겠습니까. 필자에게도 리더십이 굉장히 모호하고, 막연하고, 불투명한 개념 중 하나였습니다. 사람들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그 힘, 그 무언가가 리더십인 건 알겠는데, 그거 도대체 어떻게 하는걸까? 리더십첫줄은 필자의 이런 근본적인 의문에 열쇠를 제공한 테마였습니다. 세션은 보통 6명 …
HFK 문제해결사-협상클럽(CNT_Club The Negotiation) 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도서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_ 스튜어트 다이아몬드 일시 : 2018년 2월 8일 (목) 19:30-22:30 테마를 두고 관련된 프로그램을 묶어서 진행하는 …
지구에 세금을 내는 기업 ‘파타고니아’
HFK 트렌드슈팅-매거진B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2018 Early Season 트랜드슈팅 첫 시간은 매거진B ‘파타고니아’ 편으로 진행됐습니다. 첫 세션인 만큼 HBR 포럼 코리아(hbrforum.org)에 대한 소개와 멤버들의 자기소개로 시작됐습니다.
기업의 최우선 가치, 존재의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윤 창출’입니다. 하지만 파타고니아는 지역사회 공헌과 직원 복지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고 말합니다. 이런 기업 철학은 창업 당시부터 확고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창업자 이본 쉬나드 회장은 클라이밍에 사용하는 장비(피톤)를 생산하며 처음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만든 제품이 암벽을 파괴한다는 점을 알게 됐고, 과감히 피톤 생산을 즉시 중단합니다. 이후 그는 알루미늄을 활용해 암벽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 있는 제품을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쉬나드 회장은 환경 보전과 더불어 ‘최고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모토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을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하고, 그러려면 각각의 제품이 최고의 품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파타고니아의 제품혁신 부서 직원은 “재활용 재료가 원자재만큼 품질이 좋지 않다면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파타고니아는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추구하며, Worn Wear 프로젝트를 통해 입던 옷을 수선해 다시 입도록 장려하기도 하고, 제품을 검색하면 e-bay에서 중고 제품이 먼저 노출되게 하기도 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최대 특수를 노릴 수 있는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이 자켓을 사지 마세요(Don’t buy this jacket)’이라는 광고를 내보내면서 정말 필요한 소비만 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죠.
파타고니아는 이윤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지는 않지만, 수익을 내는 회사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Soci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부서의 카라 샤콘은 “책임감과 수익성이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며 둘 중 하나를 꼭 선택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파타고니아는 2008년 금융 위기 때 전년 대비 50%, 이후에도 연평균 35% 성장했습니다. 파타고니아는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으로서, 매출의 1% 혹은 이익의 10%(둘 중 큰 액수)를 ‘지구에 내는 세금’으로 생각하고 환경 관련 사업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파타고니아 큐레이션은 권오영님께서 맡아주셨는데요, 역시 마케팅에 대한 지식과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세션으로 진행해주셨습니다.
비주얼 자료들과 함께 Cultural Marketing에 대한 개념 설명, Elements of Value 피라미드를 통한 브랜드 설명을 듣고 Discussion이 진행됐습니다.
파타고니아 제품을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친숙하게 생각하던 멤버부터 파타고니아에 대해 처음 들어본 멤버까지 각자의 생각을 나누면서 브랜드의 철학을 공감하고 착한 소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트렌드슈팅 다음 세션은 ‘필드트립’입니다. 트렌드가 일어나는 곳을 직접 찾아가서 함께 경험하고 이야기를 나눈다고 합니다. 벌써부터 기대되는 시간입니다.
후기: 김지향님 (두산 홍보팀, HFK 18얼리 트렌드슈팅 멤버)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Related Posts
2020 겨울시즌 컨퍼런스 노트
나와 우리를 성장시키는 힘 직장 생활도 이제 18년이 넘어가고 있고, 그간 여러 번 회사를 옮겼으며, 직장 생활 중에 석사도 마쳤고, 지금은 회사에서 팀을 이끌고 있다. 그런데도, 아니 어쩌면 당연하게, 채워지지 …
리더십, 그거 도대체 어떻게 하는걸까
오늘도 눈 앞에는 신입들이 초롱초롱한 눈망울로 할 일을 기다리고 있다면? 걱정부터 앞섭니다. 고민을 해봅니다. 사람들을 효과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무엇이 필요할까요? 우리는 동료들에게 도움이 되기 위해 어떤 자질을 갖춰야 하는 것일까요? 우리는 많은 상황에서 리더십에 대한 근본적인 고민을 하며 살아갑니다. 그도 그럴 것이, “리더십은 무엇일까?”라는 질문에 제대로 답할 수 있는 사람은 아마 얼마 없을거에요. 애초에 리더십의 언어학적 정의 자체가 ‘리더의 자질’인걸 뭐 어떡하겠습니까. 필자에게도 리더십이 굉장히 모호하고, 막연하고, 불투명한 개념 중 하나였습니다. 사람들을 자신이 원하는 방향으로 이끌어가는 그 힘, 그 무언가가 리더십인 건 알겠는데, 그거 도대체 어떻게 하는걸까? 리더십첫줄은 필자의 이런 근본적인 의문에 열쇠를 제공한 테마였습니다. 세션은 보통 6명 …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HFK 문제해결사-협상클럽(CNT_Club The Negotiation) 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도서 “어떻게 원하는 것을 얻는가” _ 스튜어트 다이아몬드 일시 : 2018년 2월 8일 (목) 19:30-22:30 테마를 두고 관련된 프로그램을 묶어서 진행하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