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8 Early Season 트랜드슈팅 첫 시간은 매거진B ‘파타고니아’ 편으로 진행됐습니다. 첫 세션인 만큼 HBR 포럼 코리아(hbrforum.org)에 대한 소개와 멤버들의 자기소개로 시작됐습니다.
기업의 최우선 가치, 존재의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윤 창출’입니다. 하지만 파타고니아는 지역사회 공헌과 직원 복지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고 말합니다. 이런 기업 철학은 창업 당시부터 확고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창업자 이본 쉬나드 회장은 클라이밍에 사용하는 장비(피톤)를 생산하며 처음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만든 제품이 암벽을 파괴한다는 점을 알게 됐고, 과감히 피톤 생산을 즉시 중단합니다. 이후 그는 알루미늄을 활용해 암벽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 있는 제품을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쉬나드 회장은 환경 보전과 더불어 ‘최고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모토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을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하고, 그러려면 각각의 제품이 최고의 품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파타고니아의 제품혁신 부서 직원은 “재활용 재료가 원자재만큼 품질이 좋지 않다면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파타고니아는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추구하며, Worn Wear 프로젝트를 통해 입던 옷을 수선해 다시 입도록 장려하기도 하고, 제품을 검색하면 e-bay에서 중고 제품이 먼저 노출되게 하기도 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최대 특수를 노릴 수 있는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이 자켓을 사지 마세요(Don’t buy this jacket)’이라는 광고를 내보내면서 정말 필요한 소비만 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죠.
파타고니아는 이윤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지는 않지만, 수익을 내는 회사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Soci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부서의 카라 샤콘은 “책임감과 수익성이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며 둘 중 하나를 꼭 선택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파타고니아는 2008년 금융 위기 때 전년 대비 50%, 이후에도 연평균 35% 성장했습니다. 파타고니아는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으로서, 매출의 1% 혹은 이익의 10%(둘 중 큰 액수)를 ‘지구에 내는 세금’으로 생각하고 환경 관련 사업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파타고니아 큐레이션은 권오영님께서 맡아주셨는데요, 역시 마케팅에 대한 지식과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세션으로 진행해주셨습니다.
비주얼 자료들과 함께 Cultural Marketing에 대한 개념 설명, Elements of Value 피라미드를 통한 브랜드 설명을 듣고 Discussion이 진행됐습니다.
파타고니아 제품을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친숙하게 생각하던 멤버부터 파타고니아에 대해 처음 들어본 멤버까지 각자의 생각을 나누면서 브랜드의 철학을 공감하고 착한 소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트렌드슈팅 다음 세션은 ‘필드트립’입니다. 트렌드가 일어나는 곳을 직접 찾아가서 함께 경험하고 이야기를 나눈다고 합니다. 벌써부터 기대되는 시간입니다.
HFK 경영브릿지-HBR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MUJI의 글로벌 확장을 이끈 료힌 게이카쿠 회장 (HBR 2018 1-2월호) 일시: 2018년 1월 17일(수) 19:30-22:30 장소: 신논현역 ‘패스트파이브’ MUJI의 스토리를 읽고 토론하고 제가 MUJI에 친숙하게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잘 모를 때는 ‘생활잡화와 인테리어 소품 등을 파는 곳이구나’ 라는 생각 정도만 했었습니다. 어느 날 매장 안에 의류도 있고 …
HFK 경영브릿지-HBR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어떻게 사람을 뽑을 것인가? (HBR 2018 1-2월호) 일시: 2018년 1월 16일(화) 19:30-22:30 장소: 시청역 ‘오아시스 덕수궁’ 아티클의 저자이자 넷플릭스의 리크루터인 패티 맥코드는 자신이 직접 겪은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들(주로 미국 기업들)의 인재 채용의 문제와 해결책을 다뤘습니다. KH님의 큐레이션에서는 미국의 기업들을 바탕으로 쓰여진 아티클과 실제 한국에서의 채용이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
HFK는 3개월 멤버십 커뮤니티입니다. HFK 멤버는 격주로 모임을 가지고, 월별 이벤트와 클럽 소모임에 참여하며 3개월을 보냅니다. 한편 HFK 운영진은 첫 번째 달엔 새로운 멤버들의 소프트 랜딩을 돕고, 두 번째 달엔 다음 시즌 기획을 준비하고, 세 번째 달엔 다음 시즌 모객을 진행합니다. 새로운 시즌을 준비하는 두 번째 달에는 특히 커뮤니티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멤버들이 좋은 …
지구에 세금을 내는 기업 ‘파타고니아’
HFK 트렌드슈팅-매거진B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2018 Early Season 트랜드슈팅 첫 시간은 매거진B ‘파타고니아’ 편으로 진행됐습니다. 첫 세션인 만큼 HBR 포럼 코리아(hbrforum.org)에 대한 소개와 멤버들의 자기소개로 시작됐습니다.
기업의 최우선 가치, 존재의 이유는 일반적으로 ‘이윤 창출’입니다. 하지만 파타고니아는 지역사회 공헌과 직원 복지에 더 우선순위를 둔다고 말합니다. 이런 기업 철학은 창업 당시부터 확고히 이어지고 있습니다.
창업자 이본 쉬나드 회장은 클라이밍에 사용하는 장비(피톤)를 생산하며 처음 사업을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그가 만든 제품이 암벽을 파괴한다는 점을 알게 됐고, 과감히 피톤 생산을 즉시 중단합니다. 이후 그는 알루미늄을 활용해 암벽의 원형을 유지하면서도 안정성 있는 제품을 만드는 데 성공합니다.
쉬나드 회장은 환경 보전과 더불어 ‘최고의 제품을 생산한다’는 모토를 가지고 있습니다. 환경에 대한 피해를 최소화하려면 모든 사람이 자신에게 필요한 물건을 최소한으로 가지고 있어야하고, 그러려면 각각의 제품이 최고의 품질을 가져야 한다는 것이죠.
파타고니아의 제품혁신 부서 직원은 “재활용 재료가 원자재만큼 품질이 좋지 않다면 재활용 재료를 사용하지 않는다”고 말합니다.
파타고니아는 평생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을 추구하며, Worn Wear 프로젝트를 통해 입던 옷을 수선해 다시 입도록 장려하기도 하고, 제품을 검색하면 e-bay에서 중고 제품이 먼저 노출되게 하기도 했습니다.
기업 입장에서는 최대 특수를 노릴 수 있는 블랙프라이데이 기간에 ‘이 자켓을 사지 마세요(Don’t buy this jacket)’이라는 광고를 내보내면서 정말 필요한 소비만 할 것을 촉구하기도 했죠.
파타고니아는 이윤을 최우선적으로 추구하지는 않지만, 수익을 내는 회사라는 점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Social, Environmental Responsibility 부서의 카라 샤콘은 “책임감과 수익성이 상호 배타적인 관계가 아니며 둘 중 하나를 꼭 선택해야 하는 것도 아니다”라고 말합니다.
실제로 파타고니아는 2008년 금융 위기 때 전년 대비 50%, 이후에도 연평균 35% 성장했습니다. 파타고니아는 지속가능한 사회적 기업으로서, 매출의 1% 혹은 이익의 10%(둘 중 큰 액수)를 ‘지구에 내는 세금’으로 생각하고 환경 관련 사업에 기부하고 있습니다.
파타고니아 큐레이션은 권오영님께서 맡아주셨는데요, 역시 마케팅에 대한 지식과 다년간의 경험을 바탕으로 깊이 있는 세션으로 진행해주셨습니다.
비주얼 자료들과 함께 Cultural Marketing에 대한 개념 설명, Elements of Value 피라미드를 통한 브랜드 설명을 듣고 Discussion이 진행됐습니다.
파타고니아 제품을 오래 전부터 사용하고 친숙하게 생각하던 멤버부터 파타고니아에 대해 처음 들어본 멤버까지 각자의 생각을 나누면서 브랜드의 철학을 공감하고 착한 소비에 대해 생각해보는 시간이었습니다.
트렌드슈팅 다음 세션은 ‘필드트립’입니다. 트렌드가 일어나는 곳을 직접 찾아가서 함께 경험하고 이야기를 나눈다고 합니다. 벌써부터 기대되는 시간입니다.
후기: 김지향님 (두산 홍보팀, HFK 18얼리 트렌드슈팅 멤버)
Related Posts
MUJI의 글로벌 확장을 이끈 료힌 게이카쿠 회장
HFK 경영브릿지-HBR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MUJI의 글로벌 확장을 이끈 료힌 게이카쿠 회장 (HBR 2018 1-2월호) 일시: 2018년 1월 17일(수) 19:30-22:30 장소: 신논현역 ‘패스트파이브’ MUJI의 스토리를 읽고 토론하고 제가 MUJI에 친숙하게 된 지는 얼마 되지 않았습니다. 잘 모를 때는 ‘생활잡화와 인테리어 소품 등을 파는 곳이구나’ 라는 생각 정도만 했었습니다. 어느 날 매장 안에 의류도 있고 …
어떻게 사람을 뽑을 것인가?
HFK 경영브릿지-HBR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어떻게 사람을 뽑을 것인가? (HBR 2018 1-2월호) 일시: 2018년 1월 16일(화) 19:30-22:30 장소: 시청역 ‘오아시스 덕수궁’ 아티클의 저자이자 넷플릭스의 리크루터인 패티 맥코드는 자신이 직접 겪은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들(주로 미국 기업들)의 인재 채용의 문제와 해결책을 다뤘습니다. KH님의 큐레이션에서는 미국의 기업들을 바탕으로 쓰여진 아티클과 실제 한국에서의 채용이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
Journey into the 𝐇𝐅𝐊
HFK는 3개월 멤버십 커뮤니티입니다. HFK 멤버는 격주로 모임을 가지고, 월별 이벤트와 클럽 소모임에 참여하며 3개월을 보냅니다. 한편 HFK 운영진은 첫 번째 달엔 새로운 멤버들의 소프트 랜딩을 돕고, 두 번째 달엔 다음 시즌 기획을 준비하고, 세 번째 달엔 다음 시즌 모객을 진행합니다. 새로운 시즌을 준비하는 두 번째 달에는 특히 커뮤니티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멤버들이 좋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