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FK는 3개월 멤버십 커뮤니티입니다. HFK 멤버는 격주로 모임을 가지고, 월별 이벤트와 클럽 소모임에 참여하며 3개월을 보냅니다. 한편 HFK 운영진은 첫 번째 달엔 새로운 멤버들의 소프트 랜딩을 돕고, 두 번째 달엔 다음 시즌 기획을 준비하고, 세 번째 달엔 다음 시즌 모객을 진행합니다.
새로운 시즌을 준비하는 두 번째 달에는 특히 커뮤니티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멤버들이 좋은 리더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 생각에 잠기곤 하는데요. 이번 여름시즌을 준비하던 4월에는 그동안 멤버들이 어떤 여정을 통해 HFK에서 좋은 리더로 성장하고 계실까 궁금해졌습니다.
다섯 시즌 이상 HFK를 등록했던 멤버 100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과연 멤버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HFK를 어떤 방향으로 활용하고 있었을까요? HFK에서 시간을 보내는 멤버들의 스타일이 좋은 리더로 성장하는 방법이길 바라며 HFK에 머무르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토론형 팀에서 강의형 팀으로 (26%)
깊게 파기 위해 넓은 시야를 준비한 다음, 지금 내가 잘 해내야 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는 그룹입니다. 돌다리를 두들겨 보고 건너는 유형이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자신이 하던 일에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어야 하거나 자신이 해야 하는 일, 잘하고 싶은 일에 대해 먼저 경험해본 사람들의 이야기를 참고하고 싶을 때토론 비율이 높은 팀을 등록하고 이후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노하우를 쌓기 위해 강의형팀으로 이동합니다.
(예) 비즈니스 트렌드를 토론하는 경영브릿지, 콘텐츠살롱에서 각 분야 실무자들의 관점을 발견하고 > 프로젝트 설득을 위한 세일즈캠프 워크숍, 신사업 개발을 위해 서비스탄생 팀의 방법론, 안정적 성공적 이직을 위한 커리어 캠프의 잡포트폴리오를 활용한다.
토론형 팀과 강의형 팀을 번갈아가며 (18%)
자신의 영역에 대해 넓은 시야, 깊은 전문성 있는 지식을 번갈아가며 골고루 얻고 싶은 그룹입니다. 화요일엔 상체, 목요일엔 하체, 월 수 금은 유산소 운동을 하는 멤버들이라고 볼 수 있겠죠.
HFK에서 꾸준히 인사이트를 얻고 빠르게 적용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쌓이는 인풋을 미루지 않고 아웃풋으로 만들어 냅니다.
(예) 브랜드러너, 스몰브랜드, 콘텐츠살롱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브랜드 인사이트를 얻은 뒤 리포트로 정리하고 브랜딩캠프, 마케팅캠프에서 현업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방법론을 배운다 > 다시 토론형팀으로 돌아가 새로운 인풋을 얻고 > 강의형팀에서 인풋을 실무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반복해 배운다.
토론형 팀에서 머무르며 (12%)
꾸준히 새로운 관점과 인풋을 발견하고 싶은 그룹입니다. 자신의 성장 속도를 알고 유지하는 분들인데요. 특히 고급진영어 또는 트렌드슈팅(스몰브랜드 이전 컨셉) 팀에서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예) 더 전문성 있는 영어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고급진영어 팀을 통하여 HBR의 어휘로 영어 실력을 유지한다.
(예2) 마케터로서 꾸준히 인풋을 얻기 위하여 트렌드슈팅 팀의 B매거진 토론, 트렌드 필드트립에 참여한다.
여러 형태의 팀을 경험하며 (44%)
자신의 업무적 상황, 라이프 사이클에 연계하여 HFK의 다양한 콘텐츠로푸터 필요한 인풋을 얻는 그룹입니다.
직장 생활은 예측 불가능하죠. 외부 환경은 쉴 틈없이 변화합니다. 멤버들이 어떠한 상황에도 필요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HFK는 시즌 첫 번째 달이 끝나면 커뮤니티 중간 서베이를 진행합니다. 운영 피드백을 받고 동시에 다음 시즌 HFK 멤버들에게 어떤 콘텐츠가 필요할 지 확인하기 위해서죠. 44%의 멤버들이 여러 팀을 경험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은, 매 시즌 HFK도 변화하며 성장하고 있단 점을 보여줍니다.
(예) 첫번째 시즌에서는 지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글로벌감각 팀에서 파이낸셜 타임스를 읽고 > 두 번째 시즌에서는 리더의심리 팀에서 현실적인 리더의 모습에 대해 고찰한다. 또는 곧 다가올 휴가에 이전과는 다른 다른 시각으로 여행하기 위해서 글쓰는호퍼 팀과 콘텐츠를 만드는 연습을 한다 > 세 번째 시즌에서는 그동안의 커리어를 돌아보며 나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인터뷰글방 팀에서 발견하거나, 강점차별화 팀에서 명확하게 나만의 강점을 다듬어 낸다 > 네 번째 시즌에서는 스몰브랜드, 브랜드러너 팀에서 브랜드를 직접 경험하고 비교 분석하며 브랜드로써 나는 어떻게 차별화하고 있는지 돌아본다.
HFK로 디커플링의 저자 탈레스 테이셰이라 교수가 방문해 멤버들과 함께 프라이빗 와인챗을 가졌습니다. 이번 한국 방문의 첫 날 마지막 일정이셨다고 해요. 아마 이미 그의 책을 읽은 멤버도 많으실 것 같은데요. 디커플링은 그가 8년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로 있으며 연구한 수백개의 기업 사례가 담겨있는 책입니다. 테이셰이라 교수님을 HFK로 모실 수 있었던건 국민대 경영대학과 테크노디자인대학원의 주재우 교수님 덕분이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HFK 입니다! HFK에 참여하시는 분들은 정말 책을 좋아하고 늘 곁에 두시는거 같아요. 책과 관련된 좋은 제휴 소식이 있어서 전해드려요. 한국에서 오디오북 시장을 개척해가고 있는 윌라와 HFK가 손을 잡고 1달에 1권 책듣기 프로젝트를 진행해요! 아무래도 바쁜 직장생활에 따로 책 읽을 시간 내기가 참 어려운 요즘인데요, 오디오북은 출퇴근 시간, 약속 시간이 애매할 때 시간을 뿌듯하게 보낼 …
HFK는 시즌별로 운영되는 멤버십 커뮤니티입니다. 그렇다보니 매 시즌 마지막 달이 되면 늘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멤버분들에게 이번 시즌은 어떤 의미였을까?’ 3개월 멤버십을 선택한다는 것이 쉬운 결정은 아니란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바쁜 시간을 쪼개서 참여한다는 것이 어쩌면 일상에 작은 도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매번 한 시즌을 잘 마무리하는 방법에 대해 …
Journey into the 𝐇𝐅𝐊
HFK는 3개월 멤버십 커뮤니티입니다. HFK 멤버는 격주로 모임을 가지고, 월별 이벤트와 클럽 소모임에 참여하며 3개월을 보냅니다. 한편 HFK 운영진은 첫 번째 달엔 새로운 멤버들의 소프트 랜딩을 돕고, 두 번째 달엔 다음 시즌 기획을 준비하고, 세 번째 달엔 다음 시즌 모객을 진행합니다.
새로운 시즌을 준비하는 두 번째 달에는 특히 커뮤니티가 옳은 방향으로 가고 있는지, 멤버들이 좋은 리더로 성장하는데 기여하고 있는지 생각에 잠기곤 하는데요. 이번 여름시즌을 준비하던 4월에는 그동안 멤버들이 어떤 여정을 통해 HFK에서 좋은 리더로 성장하고 계실까 궁금해졌습니다.
다섯 시즌 이상 HFK를 등록했던 멤버 100명을 대상으로 살펴보았습니다. 과연 멤버들은 자신의 상황에 맞게 HFK를 어떤 방향으로 활용하고 있었을까요? HFK에서 시간을 보내는 멤버들의 스타일이 좋은 리더로 성장하는 방법이길 바라며 HFK에 머무르는 다양한 방법을 소개합니다.
깊게 파기 위해 넓은 시야를 준비한 다음, 지금 내가 잘 해내야 하는 일에 집중하고 있는 그룹입니다. 돌다리를 두들겨 보고 건너는 유형이 아닐까 생각되는데요.
자신이 하던 일에서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어야 하거나 자신이 해야 하는 일, 잘하고 싶은 일에 대해 먼저 경험해본 사람들의 이야기를 참고하고 싶을 때 토론 비율이 높은 팀을 등록하고 이후 실무에 활용할 수 있는 직접적인 노하우를 쌓기 위해 강의형팀으로 이동합니다.
(예) 비즈니스 트렌드를 토론하는 경영브릿지, 콘텐츠살롱에서 각 분야 실무자들의 관점을 발견하고 > 프로젝트 설득을 위한 세일즈캠프 워크숍, 신사업 개발을 위해 서비스탄생 팀의 방법론, 안정적 성공적 이직을 위한 커리어 캠프의 잡포트폴리오를 활용한다.
자신의 영역에 대해 넓은 시야, 깊은 전문성 있는 지식을 번갈아가며 골고루 얻고 싶은 그룹입니다. 화요일엔 상체, 목요일엔 하체, 월 수 금은 유산소 운동을 하는 멤버들이라고 볼 수 있겠죠.
HFK에서 꾸준히 인사이트를 얻고 빠르게 적용해 볼 수 있는 방법입니다. 쌓이는 인풋을 미루지 않고 아웃풋으로 만들어 냅니다.
(예) 브랜드러너, 스몰브랜드, 콘텐츠살롱에서 자신에게 필요한 브랜드 인사이트를 얻은 뒤 리포트로 정리하고 브랜딩캠프, 마케팅캠프에서 현업에서 바로 사용 가능한 방법론을 배운다 > 다시 토론형팀으로 돌아가 새로운 인풋을 얻고 > 강의형팀에서 인풋을 실무에 적용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반복해 배운다.
꾸준히 새로운 관점과 인풋을 발견하고 싶은 그룹입니다. 자신의 성장 속도를 알고 유지하는 분들인데요. 특히 고급진영어 또는 트렌드슈팅(스몰브랜드 이전 컨셉) 팀에서 많이 만날 수 있습니다.
(예) 더 전문성 있는 영어 커뮤니케이션을 위해 고급진영어 팀을 통하여 HBR의 어휘로 영어 실력을 유지한다.
(예2) 마케터로서 꾸준히 인풋을 얻기 위하여 트렌드슈팅 팀의 B매거진 토론, 트렌드 필드트립에 참여한다.
자신의 업무적 상황, 라이프 사이클에 연계하여 HFK의 다양한 콘텐츠로푸터 필요한 인풋을 얻는 그룹입니다.
직장 생활은 예측 불가능하죠. 외부 환경은 쉴 틈없이 변화합니다. 멤버들이 어떠한 상황에도 필요한 콘텐츠를 경험할 수 있도록 HFK는 시즌 첫 번째 달이 끝나면 커뮤니티 중간 서베이를 진행합니다. 운영 피드백을 받고 동시에 다음 시즌 HFK 멤버들에게 어떤 콘텐츠가 필요할 지 확인하기 위해서죠. 44%의 멤버들이 여러 팀을 경험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 주는 것은, 매 시즌 HFK도 변화하며 성장하고 있단 점을 보여줍니다.
(예) 첫번째 시즌에서는 지적 갈증을 해소하기 위해 글로벌감각 팀에서 파이낸셜 타임스를 읽고 > 두 번째 시즌에서는 리더의심리 팀에서 현실적인 리더의 모습에 대해 고찰한다. 또는 곧 다가올 휴가에 이전과는 다른 다른 시각으로 여행하기 위해서 글쓰는호퍼 팀과 콘텐츠를 만드는 연습을 한다 > 세 번째 시즌에서는 그동안의 커리어를 돌아보며 나는 어떤 모습이었는지 인터뷰글방 팀에서 발견하거나, 강점차별화 팀에서 명확하게 나만의 강점을 다듬어 낸다 > 네 번째 시즌에서는 스몰브랜드, 브랜드러너 팀에서 브랜드를 직접 경험하고 비교 분석하며 브랜드로써 나는 어떻게 차별화하고 있는지 돌아본다.
One reply to “Journey into the 𝐇𝐅𝐊”
Pingback: 이번 해는 다르게, HFK 봄시즌 - HFK
Related Posts
디커플링 저자와 프라이빗 와인챗
HFK로 디커플링의 저자 탈레스 테이셰이라 교수가 방문해 멤버들과 함께 프라이빗 와인챗을 가졌습니다. 이번 한국 방문의 첫 날 마지막 일정이셨다고 해요. 아마 이미 그의 책을 읽은 멤버도 많으실 것 같은데요. 디커플링은 그가 8년간 하버드 비즈니스 스쿨의 교수로 있으며 연구한 수백개의 기업 사례가 담겨있는 책입니다. 테이셰이라 교수님을 HFK로 모실 수 있었던건 국민대 경영대학과 테크노디자인대학원의 주재우 교수님 덕분이었습니다. …
[봄시즌 제휴] HFK와 윌라가 함께하는 1달 1권 책듣기 프로젝트 (윌라 멤버십 제공)
안녕하세요, HFK 입니다! HFK에 참여하시는 분들은 정말 책을 좋아하고 늘 곁에 두시는거 같아요. 책과 관련된 좋은 제휴 소식이 있어서 전해드려요. 한국에서 오디오북 시장을 개척해가고 있는 윌라와 HFK가 손을 잡고 1달에 1권 책듣기 프로젝트를 진행해요! 아무래도 바쁜 직장생활에 따로 책 읽을 시간 내기가 참 어려운 요즘인데요, 오디오북은 출퇴근 시간, 약속 시간이 애매할 때 시간을 뿌듯하게 보낼 …
2019년 겨울시즌 컨퍼런스 프롤로그
HFK는 시즌별로 운영되는 멤버십 커뮤니티입니다. 그렇다보니 매 시즌 마지막 달이 되면 늘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 ‘멤버분들에게 이번 시즌은 어떤 의미였을까?’ 3개월 멤버십을 선택한다는 것이 쉬운 결정은 아니란 것을 잘 알고 있습니다. 비용도 비용이지만 바쁜 시간을 쪼개서 참여한다는 것이 어쩌면 일상에 작은 도전이 아닐까 싶습니다. 그래서 매번 한 시즌을 잘 마무리하는 방법에 대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