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전에 누군가 제게 팀 운영에 대해 물었을 때, 저는 <오션스 일레븐>처럼 하면 될 거 같다고 대답한 적이 있습니다.
2002년 월드컵의 해에 개봉했던 영화니까 정말 오래된 거 같지만 저는 그 이후로 <오션스 일레븐> 만큼 팀에 대해서 제대로 보여준 영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오션스 일레븐>은 사실 판타지물이다
우선 잘 생긴 조지 클루니(대니얼 오션 역)와 브래드 피트 뿐만 아니라 맷 데이먼, 줄리아 로버츠 같은 명배우들이 모두 모였다는 것부터 현실에서 일어나기 힘든 일이죠.(이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 중 아카데미상을 받은 배우만 5명이고, 감독은 <트래픽>으로 감독상을 받은 스티븐 소더버그입니다.)
출처 다음 영화
라스베가스 최고의 금고를 터는 (말도 안 되는, 그런데 보는 동안 충분히 설득되는) 스토리는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지나가고 그 이후로 나오는 유사 장르의 영화들의 모범 사례로 남았습니다.
누구와 무엇을 언제까지 할 것인가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반드시 정해야 할 것 3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사람, 시간, 그리고 일의 범위. 누가 이 일을 맡고, 언제까지 할 것인지, 그리고 일의 명확한 목표가 무엇인지 정하고 시작하고 나면, 우리가 프로젝트 중간 어디쯤 와있는지 헷갈리더라도 첫 약속을 함께 꺼내볼 수 있게 됩니다.
출처 다음 영화
오션(조지 클루니)도 뚜렷하게 프로젝트를 규정하고 시작합니다. 12명을 모으고, 디데이를 정하고, 카지노를 털자. 일을 하다보면 생각보다 이 3가지를 정하지 않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 하는 범위가 들쑥날쑥해지기도 하고, 타임라인이 정해지지 않아 일이 마냥 흐르는 강물처럼 끝을 모른 채 가는 경우도 경험해봤습니다. 기초를 얼마나 다지고 시작하느냐는 리더라면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입니다.
불가능해 보이지만 도전하고 싶은 목표
출처 다음 영화
<오션스 일레븐>에서 배울 수 있는 팀의 미덕은 비단 이뿐만이 아닙니다. 11명의 멤버가 모두 모여 브리핑을 들을 때 1억 5천만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숫자와 절대 훔칠 수 없는 상황을 함께 듣습니다.
다들 겁먹은 표정을 짓지만, 역시 판타지 영화답게 누구도 포기하지 않습니다. 만약 목표가 시골 마을 금고털이 정도였다면 11명 멤버들에게도, 보는 관객들에게도 전혀 흥미롭게 다가가지 못했을 겁니다.
출처 다음 영화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상상할 수도 없는 어마어마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달려드는 과정에 일종의 희열을 느끼곤 합니다. 그런데 자기 앞의 목표는 어떻게든 현실적인 걸 생각하게 되죠. 필연적으로 실패를 마주치게 될까 불안해 합니다. 저또한 스스로의 목표에 대해선 그렇게 멋있는 목표를 세웠던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훌륭한 팀이라면 ‘오션스 일레븐’처럼 담대한 목표를 함께 그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이라면 할 수 없지만, 팀이라면 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울 수 있어야죠. 실패의 가능성을 감수하고서라도 집으로 돌아가지 않을 정도의 목표 그리고 심장이 두근대면서 한번 해볼까 생각해볼만한 딱 그만큼이면 되죠. 물론 가장 먼저 리더가 ‘반드시 카지노를 털겠다’는 강한 의지가 선행되고 나서요.
HBR 5~6월호를 읽어보신 분들은 반가운 아티클을 발견하지 않으셨나요? 바로 ‘전략적 외부활동’입니다. 아티클을 읽은 HFK 멤버 누구나 공감하셨을 거예요. 다른 커뮤니티도 아닌 HFK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유를 잘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이죠. | WHY COMMUNITY 지난 HFK 시즌 컨퍼런스에서 발표되었듯, 이 아티클에서도 전통적인 교육 기관은 현실의 빠른 변화를 반영하기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또한 아티클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 업무에 …
읽지 않아도 기억에 남는 책이 있습니다. 바로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인데요, 사람들은 책 제목만 봐도 ‘아, 맞아. 비판하고 비난하기보다는 칭찬을 해야 사람들이 움직이지!’ 생각을 합니다. 그만큼 우리는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칭찬’의 강력한 힘을 온몸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최근에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3-4월호에로 실린 ‘피드백에 멍들다’ 아티클에서도 직원들의 단점을 비판하기보다는(못하는 것을 개선시키기보다는) 잘하는 점을 인정하고 강화시키는 것이 직원의 …
What matters most to you and why? 연세대에 입학하고 삼성에 입사한 것은 내가 좋아서 한 선택이 아니다.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인정 받고 싶은 욕구가 발현된 결과였다. 최고보다는 스스로 만족할만한 선에서 최선을 다하는 인생이었다. 이후 MBA를 준비하는 과정에서(결국 실패했지만) 나에게 남은 건 단 하나의 질문이었다. 스탠포드 MBA 에세이 질문 중 하나인 ‘What matters most to …
일로 보는 영화, 영화로 보는 일 오션스일레븐 #1
예전에 누군가 제게 팀 운영에 대해 물었을 때, 저는 <오션스 일레븐>처럼 하면 될 거 같다고 대답한 적이 있습니다.
2002년 월드컵의 해에 개봉했던 영화니까 정말 오래된 거 같지만 저는 그 이후로 <오션스 일레븐> 만큼 팀에 대해서 제대로 보여준 영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우선 잘 생긴 조지 클루니(대니얼 오션 역)와 브래드 피트 뿐만 아니라 맷 데이먼, 줄리아 로버츠 같은 명배우들이 모두 모였다는 것부터 현실에서 일어나기 힘든 일이죠.(이 영화에 출연한 배우들 중 아카데미상을 받은 배우만 5명이고, 감독은 <트래픽>으로 감독상을 받은 스티븐 소더버그입니다.)
출처 다음 영화
라스베가스 최고의 금고를 터는 (말도 안 되는, 그런데 보는 동안 충분히 설득되는) 스토리는 시간 가는 줄 모르게 지나가고 그 이후로 나오는 유사 장르의 영화들의 모범 사례로 남았습니다.
프로젝트를 시작할 때 반드시 정해야 할 것 3가지가 있다고 합니다. 사람, 시간, 그리고 일의 범위. 누가 이 일을 맡고, 언제까지 할 것인지, 그리고 일의 명확한 목표가 무엇인지 정하고 시작하고 나면, 우리가 프로젝트 중간 어디쯤 와있는지 헷갈리더라도 첫 약속을 함께 꺼내볼 수 있게 됩니다.
출처 다음 영화
오션(조지 클루니)도 뚜렷하게 프로젝트를 규정하고 시작합니다. 12명을 모으고, 디데이를 정하고, 카지노를 털자. 일을 하다보면 생각보다 이 3가지를 정하지 않고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일의 종류와 경중에 따라 다르겠지만, 일 하는 범위가 들쑥날쑥해지기도 하고, 타임라인이 정해지지 않아 일이 마냥 흐르는 강물처럼 끝을 모른 채 가는 경우도 경험해봤습니다. 기초를 얼마나 다지고 시작하느냐는 리더라면 반드시 갖춰야 할 덕목입니다.
출처 다음 영화
<오션스 일레븐>에서 배울 수 있는 팀의 미덕은 비단 이뿐만이 아닙니다. 11명의 멤버가 모두 모여 브리핑을 들을 때 1억 5천만 달러라는 어마어마한 숫자와 절대 훔칠 수 없는 상황을 함께 듣습니다.
다들 겁먹은 표정을 짓지만, 역시 판타지 영화답게 누구도 포기하지 않습니다. 만약 목표가 시골 마을 금고털이 정도였다면 11명 멤버들에게도, 보는 관객들에게도 전혀 흥미롭게 다가가지 못했을 겁니다.
출처 다음 영화
우리는 다른 사람들이 상상할 수도 없는 어마어마한 목표에 다가가기 위해 달려드는 과정에 일종의 희열을 느끼곤 합니다. 그런데 자기 앞의 목표는 어떻게든 현실적인 걸 생각하게 되죠. 필연적으로 실패를 마주치게 될까 불안해 합니다. 저또한 스스로의 목표에 대해선 그렇게 멋있는 목표를 세웠던 적이 없습니다.
그래서 훌륭한 팀이라면 ‘오션스 일레븐’처럼 담대한 목표를 함께 그릴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개인이라면 할 수 없지만, 팀이라면 할 수 있는 목표를 세울 수 있어야죠. 실패의 가능성을 감수하고서라도 집으로 돌아가지 않을 정도의 목표 그리고 심장이 두근대면서 한번 해볼까 생각해볼만한 딱 그만큼이면 되죠. 물론 가장 먼저 리더가 ‘반드시 카지노를 털겠다’는 강한 의지가 선행되고 나서요.
‘일로 보는 영화, 영화로 보는 일: 오션스 일레븐’ 편은 세 번에 나눠 배포됩니다. 오션의 팀빌딩 노하우를 엿볼 수 있는 다음 콘텐츠를 기대해주세요.
‘실무에서 관리자로, 이제는 넓게 봐야할 떄’
재형님은 최신 HBR을 디스커션하는 경영브릿지 그로스팀을 운영중입니다.
경영브릿지 그로스팀이 궁금하다면? [링크]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Related Posts
전략적 외부활동 그리고 HFK
HBR 5~6월호를 읽어보신 분들은 반가운 아티클을 발견하지 않으셨나요? 바로 ‘전략적 외부활동’입니다. 아티클을 읽은 HFK 멤버 누구나 공감하셨을 거예요. 다른 커뮤니티도 아닌 HFK에서 활동하고 있는 이유를 잘 설명해주고 있기 때문이죠. | WHY COMMUNITY 지난 HFK 시즌 컨퍼런스에서 발표되었듯, 이 아티클에서도 전통적인 교육 기관은 현실의 빠른 변화를 반영하기 어려워졌다고 합니다. 또한 아티클에서는 자신의 능력을 인정받기 위해 업무에 …
어른이 되어서도 우리는 ‘칭찬’ 받는 것을 좋아한다.
읽지 않아도 기억에 남는 책이 있습니다. 바로 ‘칭찬은 고래도 춤추게 한다’ 인데요, 사람들은 책 제목만 봐도 ‘아, 맞아. 비판하고 비난하기보다는 칭찬을 해야 사람들이 움직이지!’ 생각을 합니다. 그만큼 우리는 그동안의 경험을 통해 ‘칭찬’의 강력한 힘을 온몸으로 느끼고 있습니다. 최근에 하버드비즈니스리뷰(HBR) 3-4월호에로 실린 ‘피드백에 멍들다’ 아티클에서도 직원들의 단점을 비판하기보다는(못하는 것을 개선시키기보다는) 잘하는 점을 인정하고 강화시키는 것이 직원의 …
당신의 인생 아티클/책은 무엇인가요?
What matters most to you and why? 연세대에 입학하고 삼성에 입사한 것은 내가 좋아서 한 선택이 아니다. 부모님의 기대에 부응하는 동시에 사회적으로 인정 받고 싶은 욕구가 발현된 결과였다. 최고보다는 스스로 만족할만한 선에서 최선을 다하는 인생이었다. 이후 MBA를 준비하는 과정에서(결국 실패했지만) 나에게 남은 건 단 하나의 질문이었다. 스탠포드 MBA 에세이 질문 중 하나인 ‘What matters most to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