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의 시간 관리와 기업의 시간 관리, 그 접점을 찾아서’라는 제목으로 Commentary On The Big Idea를 기고하신 연성대 임병권 교수님의 강연이 이어 진행되었습니다. 임병권 교수님은 시간보다 돈을 더 소중히 여기는 이유, 시간을 소중히 여기기가 쉽지 않은 이유 그리고 어떻게 시간을 더 소중히 여길 수 있을지에 대해 이야기 해주셨습니다.
엄청난 속도로 달리는 차의 바퀴는 닳기 마련이고 반드시 갈아야합니다. 대신 바퀴를 가는 시간도 기록에 포함되기 때문에 중간에 바퀴를 잘 갈아야하죠. 바퀴를 가는데 걸리는 시간은 약 2.10초!
우리는 하루 평균 8시간, 28800초를 일하고 수없이 바퀴를 갈 수 있을 시간이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왜 일할 때 시간이 부족한 느낌이 왜 들까요? 사실 무언가 부족하단 건 그것이 내 것이 아닐때 느끼는 감정입니다. 자신이 그것을 통제할 수 없을 때 부족함을 느끼죠. 회사에서의 8시간은 내가 통제할 수 있는 시간이 아니다보니 항상 시간이 부족하다고 생각하게 됩니다.
돈도 항상 부족하죠. 왜 부족하다고 느낄까요? 내가 필요할때 쓸 수 없으니요. 물론 스스로 통제할 수도 없고요. 시간도 마찬가지입니다. 내가 통제하지 못하는 한 시간은 영원히 부족합니다. 그래서 우리는 어떤 형태로라도 시간의 주도권을 가져와야 합니다.
– 먼저 아이디어를 제안해라 먼저 아이디어를 꺼낸 사람에 대해서는 주도권을 줄 수 밖에 없습니다. 주도권을 가져온 사람은 자신에게 맞는 스케줄 관리가 가능하죠. 일의 주도권이 넘어가면 시간의 주도권이 넘어갑니다. 먼저 아이디어를 내고 움직이면 시간과 일의 주도권은 자신의 것이 됩니다.
– 내게 필요한 질문을 하라 질문을 먼저 하는 사람이 주도권을 갖습니다. 그래서 무엇을 질문할지 내가 모르고 있던 것은 무엇인지 생각해보는 것이 중요합니다. “—라고 생각하는데 —님의 생각은 어떠세요?”, ” —님 미팅에서 혹시 제가 알고있어야 할 부분이 있을까요?”과 같은 질문을 상사에게 건네는 분이 계신가요? 먼저 질문하세요. 일의 주도권을 가져온다는 것은 시간을 가져온다는 것 입니다.
옷을 고르는데 드는 시간을 줄이기 위해서 저커버그의 옷장에는 20개의 회색 티셔츠가 있죠. 모두가 똑같이 보내는 하루의 8시간 동안 무엇이 핵심이고 무엇을 버릴것인가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생기시길 바랍니다. 우선순위를 정리하는 것으로도 연결될 수 있죠. 온전히 8시간을 자신의 일에 사용하는 것이 시간 관리의 핵심입니다.
_____________
임병권 교수
현대카드와 DHL코리아 인사팀을 거쳐서 OTIS 엘리베이터코리아 인사상무, 힐튼호텥 인사전무를 지냈다. 25년간 다양한 산업과 기업 환경에서 인사, 조직, 문화와 관련된 폭넓은 이슈를 기획하고 실행했다. 글로벌 기업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식이라는 주제의 저서 <8시간>을 출판했다. 고려대 경영전문대학원에서 인사조직 MBA를 취득했으며, 현재 연성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HFK 경영브릿지-HBR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어떻게 사람을 뽑을 것인가? (HBR 2018 1-2월호) 일시: 2018년 1월 16일(화) 19:30-22:30 장소: 시청역 ‘오아시스 덕수궁’ 아티클의 저자이자 넷플릭스의 리크루터인 패티 맥코드는 자신이 직접 겪은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들(주로 미국 기업들)의 인재 채용의 문제와 해결책을 다뤘습니다. KH님의 큐레이션에서는 미국의 기업들을 바탕으로 쓰여진 아티클과 실제 한국에서의 채용이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
안녕하세요, HFK 입니다! 최근에 회사 밖 사람들을 만나는 자리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52시간 근무, 워라밸(work-life balance)에 대한 관심, 밀레니얼 세대의 취향 추구 등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독서모임, 취향공유 등 다양한 모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더불어 그동안은 회사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회식, 사내 동아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직장인들이 회사 밖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직장 선배들의 퇴사, 구조 조정, 사업 …
벌써 가을 시즌의 마지막 달이네요. HFK는 시즌의 중반을 지날 때 다음 시즌 준비를 시작하며 가장 먼저 멤버들에게 피드백을 수집합니다. 중간 리뷰는 멤버들에게 현재까지의 만족도를 묻기도 하지만 앞으로 커뮤니티 활동의 목표도 다시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조사에는 총 37명이 응답해주셨어요. HFK는 응답의 평균, 응답간 연관성을 체크해보기도 했지만 응답 하나하나를 찬찬히 살펴보며 지난 …
월간HBR포럼 (2) – 시간빈곤감, 어떻게 떨쳐낼까?
_____________
임병권 교수
현대카드와 DHL코리아 인사팀을 거쳐서 OTIS 엘리베이터코리아 인사상무, 힐튼호텥 인사전무를 지냈다. 25년간 다양한 산업과 기업 환경에서 인사, 조직, 문화와 관련된 폭넓은 이슈를 기획하고 실행했다. 글로벌 기업에서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적으로 일하는 방식이라는 주제의 저서 <8시간>을 출판했다. 고려대 경영전문대학원에서 인사조직 MBA를 취득했으며, 현재 연성대 경영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댓글을 달려면 로그인해야 합니다.
Related Posts
어떻게 사람을 뽑을 것인가?
HFK 경영브릿지-HBR클럽에서 나눈 이야기를 정리했습니다. 주제: 어떻게 사람을 뽑을 것인가? (HBR 2018 1-2월호) 일시: 2018년 1월 16일(화) 19:30-22:30 장소: 시청역 ‘오아시스 덕수궁’ 아티클의 저자이자 넷플릭스의 리크루터인 패티 맥코드는 자신이 직접 겪은 사례를 바탕으로 기업들(주로 미국 기업들)의 인재 채용의 문제와 해결책을 다뤘습니다. KH님의 큐레이션에서는 미국의 기업들을 바탕으로 쓰여진 아티클과 실제 한국에서의 채용이 무엇이 어떻게 다른지에 대해서, …
회사 밖 사람들을 만나면 좋은 3가지 이유
안녕하세요, HFK 입니다! 최근에 회사 밖 사람들을 만나는 자리가 많아지고 있습니다. 52시간 근무, 워라밸(work-life balance)에 대한 관심, 밀레니얼 세대의 취향 추구 등 시대의 흐름에 따라 독서모임, 취향공유 등 다양한 모임이 생겨나고 있습니다. 더불어 그동안은 회사 사람들과의 관계를 중심으로 회식, 사내 동아리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던 직장인들이 회사 밖으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직장 선배들의 퇴사, 구조 조정, 사업 …
가을시즌 어떠셨나요?
벌써 가을 시즌의 마지막 달이네요. HFK는 시즌의 중반을 지날 때 다음 시즌 준비를 시작하며 가장 먼저 멤버들에게 피드백을 수집합니다. 중간 리뷰는 멤버들에게 현재까지의 만족도를 묻기도 하지만 앞으로 커뮤니티 활동의 목표도 다시한 번 생각해볼 수 있는 계기가 되기도 합니다. 이번 조사에는 총 37명이 응답해주셨어요. HFK는 응답의 평균, 응답간 연관성을 체크해보기도 했지만 응답 하나하나를 찬찬히 살펴보며 지난 …